콘크리트와 환경

콘크리트의 염해에 대하여

법희 2010. 6. 25. 17:04

 

 

콘크리트의 염해

 

염해(鹽害)란 흔히 ‘콘크리트 구조물의 소금 피해하면 백화(白花)현상을 떠올린다. 균열이 많은 구조물에 주로 나타나는 현상으로 소금기나 이산화탄소가 시멘트성분과 화학작용을 일으켜 외부로 유출되는 것이다. 그만큼 콘크리트 강도가 크게 저하되어 있다는 신호다. 아파트에서도 가끔 나타나지만 염화칼슘을 많이 뿌린 대도시 고가도로 등에서 많이 발견된다

.

백화현상 못지않게 심각한 현상이 철근 부식이다. 콘크리트 내 철근 표면에는 부동태피막(不動態皮膜)이라 부르는 내식성(耐蝕性)피막이 있는데 이는 염화물 이온이 일정량 이상 침투하면 파괴된다.

 

철에 녹이발생하면 체적이 2.5배 정도 팽창하고 팽창압으로 콘크리트에 균열이 생긴다. 이 균열을 통해 염소이온산소수분이 쉽게 침입하고 그 결과 부식이 가속되며 결국 콘크리트가 탈락되는 현상이 나타난다.

 

콘크리트 제조과정에서 염분이 많이 썪이면 콘크리트의 초기강도는 일정기간 오히려 올라간다.

따라서 염분량이 기준치 이상 포함된 구조물에 대해서는 통상의 강도 조사보다 내구성 조사가 중요하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여기를 클릭 해보세요  

 http://WWW.구체방수.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