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관련

영구배수공법

법희 2010. 8. 4. 11:28

  

영구 배수 공법 

1. 개요

 

1) 목적

- 구조물 안정

- 공기단축 및 원가절감

- 부수적으로 바닥 방수효과 기대

 

2) 지하수 양압력 극복방안에 대한 공법 종류

- 영구배수에 의한 방법

- 사하중에 의한 방법

- 조합형 및 기타

<참고>

 

국내에서 양압력에 의한 하자 발생 사례를 살펴보면 경사면이나 도심지 구조물 축조시 90% 이상이 GL-10M이하 지반이나 또한 경사면의 경우 지하수위가 축조 구조물보다 낮게 형성된 경우 대부분 사고가 발생되고 있다.

그 이유는 얕은 굴착에 따른 안이한 생각으로 기술자의 방심 때문에 일어나고 있음을 숙지해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양압력에 대한 하자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토질 전문가에 의한 정확한 수리 모델링에 따른 설계와 지반 공학적 측면에서 안정성을 검토해야 할 것이다.

 

 

3) 영구배수 시스템과 부력 앙카 시스템의 경제성 비교

 

 

 

 

  4) Flow Chart

 

설계도 및 시방서

 

- 기초지반 : 모든 지층 가능

- 기초 지반의 지하수위 체크

- 흙막이 벽체 : 오픈 컷

 

 

 

 

기술적인 검토

 

- 지하수위는 홍수위 고려

- 공기, 품질관리 및 경제성을 고려

- 트렌치 이외구간의 유입지하수의 효과적인

배수처리의 개선안 검토

- 통수 단면적을 최대한 크게 하여 눈막힘 현상

방지 및 구조물 안전검토

 

 

 

 

현장 상황

 

- 지하공사 부분의 공정이 전체공기에 미치는 영향

- 기초지반은 표토층 하부이하 풍화토 지층으로서

지하수와 지표수의 유입에 따른 구조물 영항 검토

 

 

 

 

원가

 

- 일반적으로 기존안과 개선안 검토대상은 구조적

안정에 따른 시공성과 경제성에 역점을 둠

- 합리적인 수리모델링을 통한 기초바닥 저면으로의

지하수 유입량을 산출하여 안정적이며,

효과적인 영구배수 시스템 설계.

 

 

 

 

공기

 

- 합리적인 설계로 인한 배수시스템 설치공사 단축

 

 

 

 

공법개선 여부 검토

 

- 공기단축, 경제성 구조물 안정이 가능한 공법?

- 시공성이 더 좋은 공법?

- 영구적인 배수시스템의 안전시공 및 유지관리 확보?

 

 

 

 

개선된 영구배수 공법의 적용을 검토

 

 

 

 

 

 

 

 2 최하층 슬래브 구조물 조건에 의한 공법 비교

 

구분

완전 非 내수압 조건

임의 수압 조절형 조건

형상

 

 

면적

A = 10,000㎡

A = 10,000㎡

배수로길이

(터파기)

L = 500M(최소길이)

지층

풍화암 ~ 연암

풍화암 ~ 연암

최하층슬래브 내수압 고려

P = 0 ~ 1 ton f/㎡

P = 2 ~ 3 ton f/㎡

슬래브 두께

h = 50 cm

h = 50 cm

최하층슬래브 철근량

최소철근비 = 14/fy

최소철근비 = 14/fy ≒ (2~3배)

≒ 6,000 원/㎡ (증가)

배수로터파기

(잔토처리포함)

500원 / ㎡ 당

시공성

안정성

(영구조건)

특징

- 모든 지층 사용가능

- 통수단면적 확보로 막힘 현상

방지

- 최하층 슬래브 영향 최소화

- 영구적으로 매우 안전하다

- 전체(최하층 슬래브+영구배수)적인

금액에서는 훨씬 경제적이다.

- 지층에 제한적

- 통수단면적 확보 부족으로 막힘우려

- 골재포설이 없으므로 시공성이 양호

- 전체(최하층 슬래브+영구배수)적인

면에서 고가이다.

- 구조적인 면에서 반드시 최저층

내수압 부재 검토 필요

단가

최하층 슬래브 + 영구배수

최하층 슬래브 + 영구배수

조절형보다 2배 절감/㎡ 당

완전 비 내수압조건보다

2배 증가/㎡ 당

 

 

 

 

3. 공법별 비교

구분

MPC공법

(Minimum Pipe & Clogging Drainage System)

부분배수로+양면 판형 배수재

전단면 골재 포설

사각다발매트 배수시스템

기본

형식

공법

개요

기존문제점인 눈막힘 현상과 배수로 터파기 과다에 따른 공사비 증가에 대한 우려를 최소화하여 최대의 안정성과 최소의 공사비로 품질 확장 및 공기를 단축하는 획기적인 공법

매트기초 아래의 수개소의 배수로 안에 자갈을 포설하여 드레인보드로 유도된 지하수를 자갈층 및 다발관을 통하여 집수하는 배수공법

최종굴착 완료 후 매트기초 아래의 굴토 마감면 전단면 자갈포설 및 자갈층 내 다발관 설치에 의한 배수공법

매트기초 아래의 일부 배수로 굴착 및 버림 콘크리트내에 일체화한 편형드레인보드와 다발관을 통하여 집수하는 배수공법

장점

-시공이 간편

-배수로 터파기 최소화

및 막힘 현상방지

-일체성 유지로 품 질 보증 및 공기 단축

-배수로 최소화로

최적의 세척기능과

통수 단면적 확보

-부력 앙카보다

경제적임

-투입자재가 영구적

-별도의 부력앙카의

설치가 필요없다.

-공사비 공기절약

가능

-기초바닥 슬라브의

경제적인 설계가

가능하고 방수층의

보호가 용이

-전단면보다 비용이

적다

-투입자재가 영구적

이며 안전함

-인접 건물에 대한

피해 발생은 없음

-골재 사용으로 외부

힘에 의한 투수성

감소는 발생하지

않는다.

-전단면 통수 단면적

확보에 따른 부력

최소화.

-유입수처리 속도가

빠르며 세척기능으로

막힘현상이 없으므로

구조적으로 안전함

-유도수로와 배수로

일체성 유지

-배수로 터파기 최소화

-인접 건물에 대한

피해 발생은 없음

-부력앙카보다 경제

적임

-투입자재가 영구적

이며 안전함

단점

-토질전문가에 의한

정확한 수리모델링

및 수리, 지반공학

적 설계가 요구됨

-적용사례 및 적용현

장 참조

-암반일 경우 배수로

터파기 과다 비용

발생

-토질전문가에 의한

정확한 수리모델링

및 수리, 지반공학

적 설계가 요구됨

-적용 사례 및 적용

현장 참조

-골재의 대량수급 및

이물질을 깨끗하게

청소해야 하는 부담

발생 경비 증가

-토공량이 부분 트렌

치 공법에 비해

증가하고 공기

(토공)가 늘어난다

-이물질 방지를 위한

전단면 토목섬유 설

치 필요

-골재 고갈현상 발생

-토공량 증가

- 2001년 7월 첫 도입

- 토립자 및 부유 뮬질이

많은 지반 적용 불가

-시공면이 암반일 경우

면처리 비용 과다 발생

-원형다발관+직사각다발

관+편형배수재 연결로

공정관리 복잡 및 일체성

결여

-모든 지층 적용 불가

-세척기능 및 통수 단면

적 미확보로 구조적 안정

에 의문

구분

MPC공법

(Minimum Pipe & Clogging Drainage System)

부분배수로+양면 판형 배수재

전단면 골재 포설

사각다발매트 배수시스템

적용

지반

-모든 토질 가능

-암반일 경우 최적의

공법

-모든 토질 가능

-토사지반인 경우

최적의 공법

-모든 토질 가능

-모든지층에 제한적

-토사지반인 경우

시공 난이함

시공

자재

다발관/양면 판형 배수판/골재/부직포/PE필름

다발관/양면판형

배수판/골재/부직포

/PE필름

다발관/골재/부직포/PE필름

다발관/편형판형

배수판/부직포

/PE필름

시공성

-공정단순화로 공기

단축

-후속공정에 영향

없음

-공정단순화로 품질

보장

-공정단순화로 공기단축

-골재하역작업 등 공정 복잡합

-운반시 미립분 및 부유물질 발생으로 품질저하

다발관과 편형판형 배수판 다수연결로 공정이 복잡합

-이음부 시공이 난이함

매우양호

양호

보통

보통

경제성

-배수로 최소화에

따른 공기단축 및

공사비 절감 효과

크다

-공기단축으로

공사비 절감

-골재 다량 투입으로

공사비 증가

-타공법에 비해 공기

지연

-공정이 복잡하여

공사비 절감효과

미흡함.

매우양호

양호

보통

양호

안정성

-그동안 축적된 설계

Know-how와 시공

경험을 바탕으로

기획한 공법으로

구조적으로 안정

-부분 배수로 통수

단면적 및 배수재

시공으로 구조적

으로 안정.

-구조물 전 바닥이

통수 단면적이므로

구조적으로 안정.

-통수 단면적 및

세척 기능미비로

구조적 안정에 의문

-단기시공에 따른

검증 불가

양호

매우 양호

매우 양호

검증 필요

 

 

4. 시공자재

골재

장섬유 부직포

유공관 및 다발관

Public Drain Board

PE 필름

O.K 배수판 및 Core Hole Drain Board

 

 

 

5. 시공순서도

 

 

 

 

 

                                            여기를 클릭 해보세요 http://WWW.bestonekorea.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