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크리트와 환경

콘크리트의 방식과 자가치유형 구체방수공법

법희 2010. 6. 16. 11:23

 

 

콘크리트의 방식(防蝕)과 자가치유형 구체방수공법

 

Ⅰ.개요

1)콘크리트 구조물이 외부의 산 , 염기, CO2 등으로부터 영향을 받아 열화 할 우려가 생긴다.

2)콘크리트 방식이란 표면을 특수한 공법으로 처리하여 외부의 영향에 대해 보호하는 것을 말한다.

 

Ⅱ.방식의 필요성

1) 염해방지 2) 중성화방지 3) 콘크리트 내구성 증진 4)수밀성 증진 5)동결융해방지

 

Ⅲ. 방식공법

1)방수막 형성 2)미장 3)도장 4)뿜어붙이기 5)침투액 도포 6)방수물질혼합공법 7)팽창재 사용

 

 

Ⅳ. 방식이 필요한 이유와 조치방안

철근콘크리트구조물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콘크리트 자체가 물을 흡수할 경우 동결 팽창을 일으키고, 흡수된 유해이온이 철근 깊이까지 도달해 철근에 부식이 발생하게 되면 콘크리트 균열발생의 원인이 된다.

 

이에 대한 방안으로 콘크리트가 물을 흡수되지 않도록 방수성을 극대화시킴으로써 이러한 내구성 저하를 막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하공간은 극히 소규모의 것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이 인공적으로 조성된 환경 속에 있으며 거기서 생활하며 작업을 하는 사람들이 안전하고 쾌적하게 지낼 수 있는 인공 환경을 조성할 필요가 있다.

 

콘크리트 배합 및 시공적인 측면에서 균열이 발생하게 되면 구조적 결함, 내구성 저하를 초래하기 때문에 균열을 최소화하는 콘크리트 품질관리가 가장 중요하다. 특히 철도나 도로관련 시설물의 경우 구조물의 거동이나 주행하중으로 인한 진동으로 표면균열이 발생하여 물ㆍ수분 이외의 유해물질이 침투해 철근 부식이 발생하고 콘크리트 피복의 박리 박락에 따른 구조물 파괴가 일어나므로 표면 균열로 인한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콘크리트가 스스로 균열 및 공극을 충진 할 수 있는 자가치유능력(Self-Curing Effect)이 있는 콘크리트 혼화재의 사용이 절대적이라고 할 수 있다.

 

바로 이러한 방수공법 즉 콘크리트 자체를 방수화하는 베스톤 콘크리트구체방수 공법에 사용되는 혼화재가 활성실리카를 주성분으로 하는 천연광석(천매암)을 분쇄한 미분말을 콘크리트를 제조할 때 베쳐플랜트에서 혼입하여, 현장에 운반된 콘크리트를 타설하면, 경화된 콘크리트가 방수화 되어, 내구성을 증진시키게 되고, 구조물의 수명이 연장되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콘크리트는 경화 과정에 균열이 필연적으로 발생한다. 이로 인해서 누수 된다, 균열을 통해 누수 되는 것을 활성실리카 등의 포졸란[실리카(SiO2), 알루미나(Al2O3), 산화제2철(Fe2O3)]이 혼입된 콘크리트는 포졸란 반응으로 스스로 균열을 치유하여 지수시키는 능력을 갖춘 구체방수재이다.

 

 

베스톤구체방수 공법은 기존의 멤브레인방수․ 시멘트모르타르계방수․ 규산질계도포방수공법 등과 달리 콘크리트 제조시 구체방수재를 배쳐플랜트에서 혼입하여 균질한 콘크리트를 생산하므로

첫째 완벽한 방수성능과 자가치유작용이 있어 별도의 방수가 필요 없고,

둘째 지중온도와 지하실내온도 차에 의하여 발생되는 결로가 발생 되지 않으므로,

셋째이중벽체 시공이 필요치 않아 경제적이며,

방수층과 이중벽 시공의 공정이 없으므로 경제성이 있고 공기단축이 가능 하다.

다섯째 포졸란이 주성분이므로 콘크리트 강도가 떨어지지 않는다.

여섯째 수산화칼슘의 용출을 막음으로써 백화현상의 방지 및 중성화방지, 내식성이 탁월하다.

 

 

여기를 클릭 해보세요  

 http://WWW.구체방수.kr